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BEATSLOTH 공대인의 무덤

[정보보안기사 필기] 운영체제 UNIX 서버보안 요약 정리 (6) 본문

STUDY/정보보안기사 필기

[정보보안기사 필기] 운영체제 UNIX 서버보안 요약 정리 (6)

SLOTHH 2016. 12. 3. 20:35

유닉스의 특징은 대화식 OS, 멀티태스킹, 멀티 유저 , 호환과 이식의 자유로움 등등 많다

유닉스 OS 에는 SUN 과 솔라시스 등등 종류도 많다 . 그중에 리눅스도 한 종류이다. 


커널은 명령을 내리는 통로로 생각하고 입출력 , 스케쥴링 등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

대부분 C 언어와 어셈블리로 작성되어있다 . 


시스템 호출은 시스템 콜(system call)로 불리며 커널에 접근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입출력, 프로세스간, 관리 시스템 호출로 나눌수 있다. 


리눅스나 유닉스의 상징은 역시 Shell 로 말할 것이다 . ( 개인적인 생각) 

윈도우에서 마우스로 드르륵 드르륵 하던것을 커맨드로 치는 것이다 . 

일종의 CMD에서 윈도우 환경변수 호출이랄까 .. 



대충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


root 디렉토리다 . 

/etc 

주요 설정 파일 , 환경 설정을 담고 있다. 

/dev 

프린터 같은거 연결하면 생기는 파일 저장 

/usr 

보통 사용자 폴더로써 세부로 들어가면 C언어 등등이 있다. 

/tmp 

임시파일 저장소 

/var 

시스템 로그 저장  



유닉스 시스템에선 런 레벨이라는 것이 있다. 런레벨은 상태를 숫자로 표현한 것으로 상태를 알기 유용하다 .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모드= 프로그램 읽기전용 메모리 모드 

싱글 유저 모드 , 로컬 시스템 마운트 안됨 

싱글 유저 모드 , 로컬 시스템 마운트 됨 

NFS 클라이언트 모드 

NFS 서버 모드 -- 유닉스 기본 런레벨 

사용 안한다. 

시스템 끔 

리부팅  

일반 적으로 3~5의 런레벨 유지

부팅 순서는 이렇습니다 .

바이오스 

하드웨어 검사 

부트프로그램

커널 적재 및 커널의 제어권 획득 

커널 

운영체제 구동 

init

커널에서 생성되는 최초 프로세스 


명령어 정리

 du 

디렉터리의 HDD 사용량  

df

사용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 

cron 

정기적 작업을 제시간에 처리하기 위해 사용  


패스워드 관리에 중요한 파일은 passwd,shadow 파일이다. 

passwd는 옛날 , shadow 는 최근에 저장되고 있다 .


권한umask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며 정처기에서도 썼듯이 

r(읽기)은 4 w(쓰기)는 2 x(실행)는 1 이다 . 

디렉토리 생성시 최초권한은 022,027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