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증 (5)
BEATSLOTH 공대인의 무덤
접근 통제란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가 자원을 불법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고 정당한 방법만으로 자원에 접근 하도록 하는 것이다.객체와 제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 대책을 말한다 . 접근 통제의 3가지 요소에는 주체 ,객체,접근 이있다 .주체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능동적인 개체 객체 수동적인 개체 접근 읽고,수정,삭제 하는 주체 활동 접근통제 절차는 식별 ->인증->인가 순서로 아이디(식별)->비밀번호(인증)->접근제어,권한제어(인가)로 표현 할 수 있다 . 식별 본인을 밝히는 것 , 책임 추적성에 중요한 증거 인증 사용증명으로 사용자를 인정 인가 인증된 사용자를 허용 하고 권리를 주는 과정 책임 추적성 문제 발생시 책임 소재 파악 최근에는 책임 추적성을 포함한 4단계가 추가되는 추세이다. 접..
리눅스란 리누즈 토발즈가 최초로 개발 하였으며 현재 운영체제로써 자리잡았다 .리눅스의 부팅순서는 1단계 POST 수행 윈도우와 동일 2단계 부팅 관련 로드 윈도우와 동일 3단계 MRR 로드 윈도우와 동일 4단계 부트로더 LILO 와 GRUB 사용 5단계 런레벨에 따른 실행 런레벨은 7개가 있다 . 런레벨이 실행되면 가장먼저 rc.sysinit이 실행되는데 rc.sysinit은 시스템 초기화 스크립트이다. 4단계에서 언급한 LILO와 GRUB에 대해 알아보자 .LILO x86용 리눅스 부트 로더 GRUB 리눅스 배포판의 부트로더 (GUN의 부트로더) 파일시스템에는 여러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 알아볼만한건 미닉스 , ext2,ext3 이다 .미닉스 교육용 유닉스(이게 미닉스)에 썼던 시스템이다. ext2 저..
윈도우 서버는 하드웨어,HAL, 하드웨어, 마이크로 커널, 관리자 , 프로그램으로 구성 되었다 .HAL은 포팅 작업이라고도 불린다.(이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새로 개발된 하드웨어의 소프트웨어(드라이버)와의 연동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마이크로 커널은 하드웨어의 통신만을 제어한다. 입출력,객체 관리자 들은 입출력과 포트,프로세스 등을 관리 하겠죠 Win32 서브 프로그램 은 윈도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Posix는 운영체제가 데이터를 보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서브시스템 이다. FAT는 16과 32이가 있는데 FAT 16은 용량 문제로 사라져갔고 32는 가끔 사용된다.NTFS는 FAT에 비해 보안관점과 성능이 뛰어나며 윈도우 7.0 등에 적용되어 있다. 윈도우xp, 서버 2002, 200..
암호학은 약속된 사람과 당사자 만이 암호화된 암호문의 내용을 알 수있게 하는 학문이다 . 평문을 다른 사람이 알아보지 못하게 암호화 하여 키를 가진 사람만이 복호화 하여 볼수 있다. 보내는 사람을 송신자 ,받는 사람을 수신자라고 부르는데 ...도중에 메시지를 가로 채는 사람을 도청자라고 한다 . 암호와 보안 상식으로는 1) 비밀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는다 .2)약한 암호는 안하는 것만 못하다 .3)어떤 암호라도 언젠가는 풀리기 마련 4)보안에서 암호화가 전부가 아니다 . 1)은 자체적으로 암호화 알고리즘을 개발했더라도 회사 내부에서 알고리즘이 유출된다면 끝이다 .2)는 암호가 있으니 괜찮다는 잘못된 안심을 할 수 있다 .3) 컴퓨터가 발달하면서 연산속도가 빨라지고 이에 암호의 해독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정보보호는 정보의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수신 중에 발생하는 정보의 훼손,변조,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기술적 수단 이다. 정보보호는 기밀성 , 무결성 ,가용성 ,인증성, 부인방지를 보장하기 위해 보호대책을 강구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컴퓨터, 데이터 등이 이에 포함된다. 정보보호 목표는 위에서 언급했듯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유지 하기 위함으로 기밀성 오직 인가된 사람 , 프로세스와 시스템만이 시스템에 접근해야 한다. 무결성 정보의 불접적이 생성과 변경, 삭제 등 위협에서 보호 하는 것이다. 가용성 말 그대로 읽기 쉽고 (시스템에 지체 없이 동작),합법적인 사용자에게 서비스 사용을 거절 당하지 앟도록 함 쉽게 말하자면 기밀성은 기밀이니까 인가 받은 사람들만 볼 수 있다는 것 ( 군대 다녀 ..